본문 바로가기

Java/JAVA

자바 쓰레드 (멀티스레드, 스레드 세이프, 스레드 풀)

반응형

자바 쓰레드 (JAVA Thread)

쓰레드 : 프로세스(실행중인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실행 흐름.

자바는 멀티 쓰레드를 지원하는 언어로 멀티 쓰레드란 말 그대로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여러 개의 실행 흐름을 만들고 실행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멀티쓰레드를 사용 하는 이유 : 외부와의 연계같이 대기 시간이 발생했을 때 기다리는 동안 다른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해서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 단, CPU코어 수가 적으면 쓰레드를 그 만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드라마틱하게 빨라지지 않고, 처리하는 데이터 양이 적을 때에도 속도가 많이 빨라지지 않기 때문에 쓰레드를 적절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쓰레드 만드는 법

1.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확장)한 클래스를 만든다.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으면 run()메서드를 구현해야 한다.)

2. 1에서 상속한 클래스 객체를 만든다. (Runnable 객체 / 실행가능한 객체)

3. 2에서 만든 객체를 가진 실행흐름(Thread) 객체를 만든다. (자바에서 제공)

4. 쓰레드를 실행시킨다. (필요에 따라 중지도 시킴)


기본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package com.tistory.jeongpro;
 
public class MultiThreadSample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SG_TEMPLATE = "출력중 [%s][%d회]";
    private final String threadName;
    public MultiThreadSample(String threadName){
        this.threadName = threadName;
    }
    public void run(){
        for(int i =1;i<100;i++){
            System.out.println(String.format(MSG_TEMPLATE, threadName,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ultiThreadSample runnable1 = new MultiThreadSample("thread1");
        MultiThreadSample runnable2 = new MultiThreadSample("thread2");
        MultiThreadSample runnable3 = new MultiThreadSample("thread3");
        
        Thread thread1 = new Thread(runnable1);
        Thread thread2 = new Thread(runnable2);
        Thread thread3 = new Thread(runnable3);
 
        thread1.start();
        thread2.start();
        thread3.start();
    }
}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를 작성하였고 run()메서드(1~99회까지 문자열 출력)를 구현했다.

Runnable 객체를 만들었고 그것을 실행시켜줄 쓰레드도 만들었다.

만든 쓰레드를 실행했다.


쓰레드 풀(Thread Pool)

위에서는 3개의 쓰레드를 만들었지만 동적으로 프로그램에 접속한 사람 수 만큼 쓰레드를 생성하게된다면 어떨까?

아마 제한하지 않으면 메모리를 다 잡아먹을 만큼의 쓰레드를 만들어 버릴 것이다.

따라서 쓰레드풀을 이용해서 쓰레드 생성할때 최대 개수를 지정해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package com.tistory.jeongpro;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java.util.concurrent.TimeUnit;
 
public class MultiThreadSample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SG_TEMPLATE = "출력중 [%s][%d회]";
    private final String threadName;
    public MultiThreadSample(String threadName){
        this.threadName = threadName;
    }
    public void run(){
        for(int i =1;i<100;i++){
            System.out.println(String.format(MSG_TEMPLATE, threadName,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ultiThreadSample runnable1 = new MultiThreadSample("thread1");
        MultiThreadSample runnable2 = new MultiThreadSample("thread2");
        MultiThreadSample runnable3 = new MultiThreadSample("thread3");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
        executorService.execute(runnable1);
        executorService.execute(runnable2);
        executorService.execute(runnable3);
        
        executorService.shutdown();
        try{
            if(!executorService.awaitTermination(5, TimeUnit.MINUTES)){
                executorService.shutdownNow();
            }
        }catch(InterruptedException e){
            e.printStackTrace();
            executorService.shutdownNow();
        }
    }
}
 
cs

아까 예제에서 직접 쓰레드를 생성하지 않고 쓰레드풀을 생성해서 쓰레드개수를 3개로 제한하고 실행시켰다.

* 쓰레드풀을 3개로 제한하고 많은 Runnable객체를 4개 이상 만든다면 앞에서 Runnable객체가 먼저 실행하고 실행이 끝나면 다음 Runnable객체가 들어가게 된다.

* .shutdown() 메서드는 실행중인 작업 뿐만 아니라 작업 큐에 대기하고 있는 모든 작업들을 다 '처리'하고 쓰레드풀을 중지시킨다. (shutdownNow()는 인터럽트로 즉시 중지시킨다.)

* .awaitTermination은 shutdown()메서드 호출이후 해당 시간만큼안에 쓰레드풀의 작업이 전부 수행하지 못하면 실행중이던 쓰레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false 반환한다. (예제에선 5,TimeUnit.MINUTES 즉 5분이다)


쓰레드 세이프 (Thread Safe)

멀티쓰레드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서 개발자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 것을 가리킨다.

전혀 다른 일을 처리할 때는 발생상황이 없겠으나 공유자원을 참조할 때라면 개발자는 반드시 처리해야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package com.tistory.jeongpro;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text.DateFormat;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Calendar;
 
public class Unsafe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안전하지 않은 객체
        DateFormat unsafeDate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Calendar cal1 = Calendar.getInstance();
        cal1.set(1989,Calendar.MARCH,10);//1989/03/10
        Date date1 = cal1.getTime();
        Calendar cal2 = Calendar.getInstance();
        cal2.set(2020, Calendar.JUNE,20);//2020/06/20
        Date date2 = cal2.getTime();
        
        Thread thread1 = new Thread(() ->{
            for(int i=0;i<100;i++){
                try{
                    String result = unsafeDateFormat.format(date1);
                    System.out.println("Thread1: " + resul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break;
                }
            }
        });
        Thread thread2 = new Thread(() ->{
            for(int i=0;i<100;i++){
                try{
                    String result = unsafeDateFormat.format(date2);
                    System.out.println("Thread2: " + resul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break;
                }
            }
        });
        
        thread1.start();
        thread2.start();
    }
}
 


단순히 결과를 예측해보면 Thread1은 1989/03/10 만 100번 나오고 Thread2는 2020/06/20 만 100번 나와야 한다.

그러나 자세히보면 2020/06/10, 1989/03/20 이런 내용이 섞여나온다. 왜일까?

답은 SimpleDateFormat 클래스를 동시에 사용하려고 했기때문이다.

내부적으로 처리 속도가 상당히 빠른데 그 와중에 겹쳐서 date1의 1989/03/까지 찍고 있는데 갑자기 date2도 SimpleDateFormat클래스를 이용해서 20을 찍어버리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되면 개발자가 기대하는 대로 프로그램이 수행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많은 해결법중 단순한 방법 하나 - synchronized 사용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package com.tistory.jeongpro;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text.DateFormat;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Calendar;
 
public class Synchronized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안전하지 않은 객체
        DateFormat unsafeDate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Calendar cal1 = Calendar.getInstance();
        cal1.set(1989,Calendar.MARCH,10);//1989/03/10
        Date date1 = cal1.getTime();
        Calendar cal2 = Calendar.getInstance();
        cal2.set(2020, Calendar.JUNE,20);//2020/06/20
        Date date2 = cal2.getTime();
        
        Thread thread1 = new Thread(() ->{
            for(int i=0;i<100;i++){
                try{
                    String result;
                    synchronized (unsafeDateFormat) {
                        result= unsafeDateFormat.format(date1);
                    }
                    System.out.println("Thread1: " + resul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break;
                }
            }
        });
        Thread thread2 = new Thread(() ->{
            for(int i=0;i<100;i++){
                try{
                    String result;
                    synchronized (unsafeDateFormat) {
                        result= unsafeDateFormat.format(date2);
                    }
                    System.out.println("Thread2: " + result);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break;
                }
            }
        });
        
        thread1.start();
        thread2.start();
    }
}
 


바뀐 것은 딱 각각 한줄이다. unsafeDateFormat을 사용하는 줄.

String result = unsafeDateFormat.format(date1);

위 문장을 

String result;
                    synchronized (unsafeDateFormat) {
                        result= unsafeDateFormat.format(date1);
                    }

이 문장으로 바꿨다.

synchronized를 통해서 해당 인수(unsafeDateFormat)에 락을 걸어서 쓰레드끼리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게 막은 것이다. 누군가 unsafeDateFormat 객체를 쓰려고하면 쓰고있는지 검사해서 기다리게 하거나 사용하게 해준다.

따라서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보니 기존에 멀티쓰레드를 그냥 쓰던 방법보다 속도는 느리게 나오나 개발자가 기대하는대로 실행되기때문에 적절한 프로그래밍을 한 것이다.

synchronized를 사용하게 되면 그냥 멀티쓰레드를 사용하는것보다 보통 100배정도 속도가 느리게 나온다.

이것을 개선한 방법도 있으니 찾아보고 공부하면 좋겠다.



반응형